44, 55, 66 이라는 사이즈

한국인의 인체 치수를 조사하는 ‘사이즈코리아(Size Korea)’의 자료를 찾아보니 55, 66 등의 숫자는 지난 1981년에 만들어진 의류 치수의 이름이었다. 당시만 해도 우리나라의 20대 성인 여성 평균 키는 155cm, 가슴둘레는 85cm였다. 국가기술표준원의 전신이었던 공업진흥청은 두 숫자의 끝자리인 ‘5’를 각각 따서 55라는 표준 사이즈를 만든 것이다.
나아가 이 표준 사이즈에 키 5cm, 가슴둘레 3cm를 더하면 66사이즈(키 160cm, 가슴둘레 88cm), 빼면 44사이즈(키 150cm, 가슴둘레 82cm)로 부르기로 정한 것이다.

하지만 55나 66 같은 숫자는 더 이상 의류의 공식 표기법이 아니다. 한국인 표준 체격이 달라지면서 국가기술표준원이 1999년 이를 없앴기 때문이다. 현재 의류 사이즈의 기준이 되는 신체 규격은 여성은 키 160cm에 가슴둘레 90cm, 남성은 키 175cm에 가슴둘레 95cm다. 여성의 신체 규격이 20년 전 66사이즈보다도 커진 셈이다.

기사보기

(오마이뉴스) 55사이즈? 66사이즈? 왜 이렇게 부를까

오호라..

그래서 해봤다.. 쓸데없는짓..ㅋㅋㅋㅋㅋㅋㅋㅋ
시간낭비 재능낭비
1981년식 사이즈 조견표를 굳이 엑셀로 만들었다
마른, 통통의 디테일 기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닼ㅋㅋㅋㅋ

덧.
하이에나들이 있는 단톡방에 던졌다가 개털리고 버전업

인용

선택과 집중

골프 클럽을 잡을 때마다 신중한 판단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
경기 도중 ‘하고 싶은 샷’과 ‘할 수 있는 샷’, ‘해야 하는 샷’을 놓고
갈등 할 때가 많다.
그럴 때 마다 ‘하고 싶은 샷’은 우선 절제했다.
그러고 나서 나머지 선택지 중 한 개를 캐디와 함께 선택한 뒤 집중한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

고진영, LPGA 프로 골퍼